건강칼럼
연세허수범내과의 건강칼럼 입니다.
게시판 내용보기
이름 연세허수범내과
제목 비알코올 지방간 예방하려면?
날짜 2020-02-14 18:33


cb049000536.jpg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단순 지방간으로 시작하여 만성 간염, 간경변까지병의 정도가 매우 다양하다. 일반인의 경우 10~24%, 비만인의경우 58~74%까지 지방간을 앓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심한지방간 환자 4명중 1명은 간경변증으로 진행할 수 있음으로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경우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건강검진을 받다가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간혹 일부 환자들이 오른쪽 상복부가 뻐근하다거나 심한 피로감을 느낀다며 병원을 찾는 경우도 있다.

이외에도 비만, 당뇨, 고지혈증이있는 환자에게서 지방간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급작스러운 체중감량이나 약제에 의해서도 지방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당뇨, 비만, 등이 질환이 없더라도 초음파검사를 받아 보는것이좋다.

지방간 치료를 위해서는 당뇨, 비만 등의 원인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좋다. 민간요법이나 생약제 등을 사용할 경우 오히려 간질환의 악화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지방간 치료를 위해서는 체중감량, 식사요법, 유산소운동이 가장 효과적이다.

체중감량을 위해서는 체질량지수(BMI) 계산「체질량지수= 몸무게(kg)÷키(m)²」을통해 본인의 비만도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질량지수가 25를넘는 경우나 복부 둘레가 남성의 경우 90cm이상, 여성의경우 80cm 이상인 경우 복부 비만에 속한다.

현재 체중의 10% 3~6개월간천천히 줄인다는 목표를 세우고 체중감량을 하는 것이 좋으며 단기간에 많은 체중감량을 할 경우 오히려 지방간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식사는 규칙적인 식사를 하되 한 끼 분량을 줄이고 열량이 높지 않은 식단으로 식사를 하는 것이 좋다. 과식을 피하고 평소보다 과식을 했다면 운동량을 늘리도록 한다. 운동은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하고 일주일에 3회 이상, 한 번에 30분 이상 하는 것이 좋다. 운동의 강도는 땀이 나는 정도로 옆사람과 대화할 수 있는 정도의 숨이 가쁘지 않은 정도가 좋다. 처음에는 가벼운 강도로 시작하여 점차강도를 높이는 것도 좋은 운동 방법이다.